[china(중국) 역사와 문화] china(중국) 역사 지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21:46
본문
Download : [중국 역사와 문화] 중국 역사 지리.hwp
② 남방과 북방
3. 대운하
1) 6300km(china(중국) 최대의 강)
ㄹ. 황하유역의 북쪽 건조지대 -밭농사(오곡-기장, 조, 보리, 콩, 마)
ㄴ. 정치, 군사적 목적에서 경제적 목적으로
3) 고온다습저습지 → 농경가능
설명
3) 대운하의 완성
남북 물산, 풍물의 차이를 표현하는 말
→ 양자강을 무대로 신석기 문화가 독자적으로 발달
청장고원 → 하투(Orodos) → 발해만 → 황해
다.
![[중국 역사와 문화] 중국 역사 지리-1544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5B%EC%A4%91%EA%B5%AD%20%EC%97%AD%EC%82%AC%EC%99%80%20%EB%AC%B8%ED%99%94%5D%20%EC%A4%91%EA%B5%AD%20%EC%97%AD%EC%82%AC%20%EC%A7%80%EB%A6%AC-1544_01.gif)
![[중국 역사와 문화] 중국 역사 지리-1544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5B%EC%A4%91%EA%B5%AD%20%EC%97%AD%EC%82%AC%EC%99%80%20%EB%AC%B8%ED%99%94%5D%20%EC%A4%91%EA%B5%AD%20%EC%97%AD%EC%82%AC%20%EC%A7%80%EB%A6%AC-1544_02_.gif)
![[중국 역사와 문화] 중국 역사 지리-1544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5B%EC%A4%91%EA%B5%AD%20%EC%97%AD%EC%82%AC%EC%99%80%20%EB%AC%B8%ED%99%94%5D%20%EC%A4%91%EA%B5%AD%20%EC%97%AD%EC%82%AC%20%EC%A7%80%EB%A6%AC-1544_03_.gif)
![[중국 역사와 문화] 중국 역사 지리-1544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5B%EC%A4%91%EA%B5%AD%20%EC%97%AD%EC%82%AC%EC%99%80%20%EB%AC%B8%ED%99%94%5D%20%EC%A4%91%EA%B5%AD%20%EC%97%AD%EC%82%AC%20%EC%A7%80%EB%A6%AC-1544_04_.gif)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대파산맥- 淮河(淮水)
→ 남북을 하나로 연결하는 물리적 연결고리
자연하천을 끌어 China의 남북을 연결
ㄱ. 황하, 회수, 장강의 물줄기를 서로 연결
중국역사,중국문화,중국지리
중국역사지리 1. 黃河 1) 중국의 지형 : 西高東低 청장고원 → 하투(Orodos) → 발해만 → 황해 2) 황토지대(황토고원) 3) 황하의 물 + 황토 → 농경가능 →) 황하문명 4) 역대 황하의 범람과 治水 2. 揚子江(長江) 1) 6300km(중국 최대의 강) 티베트 산지 → 사천분지 → 동쪽으로 2) 6300km, 황하보다 훨씬 많은 유량을 방출지만 流路 자체는 훨씬 안정(동정호, 파양호, 태호 등이 존재) 3) 고온다습저습지 → 농경가능 → 양자강을 무대로 신석기 문화가 독자적으로 발달
- 춘추전국과 진대 개통된 운하 : 수로를 통한 군대 이동, 군량미 운반
기존 여러 운하를 연결
→) 황하문명
→ 대운하 필요
2) 운하
ㄷ. 북쪽은 춥고 바람이 많으며, 건조
Download : [중국 역사와 문화] 중국 역사 지리.hwp( 16 )
양자강유역의 고온다습저습지- 논농사(쌀재배)
2) 황토지대(황토고원)
1) china(중국) 의 지형 : 西高東低
ㄷ. 수대 운하의 기본 기능을 남방의 풍부한 쌀을 수도와 북동쪽 군사기지로 운송
남쪽은 강과 호수가 펼쳐져 고온다습
china(중국) 역사지리
자연環境(환경)의 차이 → 남북 주요 교통수단의 차이
ㄴ. China의 북방과 남방은 토양, 지형, 기후, 강우 등에서 큰 차이를 보임
3) 황하의 물 + 황토 → 농경가능
流路 자체는 훨씬 안정(동정호, 파양호, 태호 등이 존재)
- 한 대 이후 세량을 수도로 운반하는 漕運 노선으로 주목
4) 역대 황하의 범람과 治水
[china(중국) 역사와 문화] china(중국) 역사 지리
2. 揚子江(長江)
티베트 산지 → 사천분지 → 동쪽으로
ㄴ. 남북조로 분열되었던 China전역을 통일한다는 정치적 의미
③ 남방과 북방의 차이
ㄱ. 南船北馬
ㄱ. 7세기 초 수에 의해 완성
1. 黃河
순서
2) 6300km, 황하보다 훨씬 많은 유량을 방출지만
→ China 내지를 양분하는 자연경계선
1) 남과 북의 지역적 차이 극복
ㄱ. 곤륭산맥-진령산맥
ㄴ. 귤이 회수를 지나면 탱자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