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피해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의 변화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04:20
본문
Download : 전쟁피해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의 변화에 관한 연구.hwp
단지 지금으로서는 어느 한쪽의 용어를 일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한편 1950∼53년 사이에 벌어진 남북간 전쟁을 지칭하는 ‘한국전쟁’이나 ‘조선전쟁’이라는 용어도 위와 같은 이유에서 부적절하다. 이는 통일 이후 국호문제와도 관련하여 해결이 쉽지 않은 문제이다.(표 첨부)전쟁피해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사회의변화에관한연구 , 전쟁피해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의 변화에 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다. 또 약칭으로는 각자가 스스로를 지칭하는 용어에 기준하여 ‘남한’과 ‘북조선’을 사용한다. 그러나 정작 그 ‘북한 사람들’은 남조선과 북조선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이 용어는 김용섭(ꡔ한국근현대농업사연구ꡕ, 일조각, 1992)과 김성보(ꡔ남북한 경제구조의 기원과 전개ꡕ, 역싸비평사, 2000) 등이 이미 사용한 바 있다 이외에 남북이나 전쟁에 관한 용어사용 문제는 이미 강정구를 비롯한 몇 몇 연구자들에 의해 제기된 바 있다(강정구, 「한국전쟁과 북한사회주의 건설」,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ꡔ한국전쟁과 남북한사회의 구조적 變化ꡕ, 1991, 159쪽;김동춘, ꡔ전쟁과 사회—우리에게 한국전쟁은 무엇이었나ꡕ, 돌…(drop)
전쟁피해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의 변화에 관한 연구내용 입니다. 외국학자들이 이 전쟁을 ‘Korean War’로 통칭하는 것은 그것이 남북을 포괄하는 정이 이기 때문에 통용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필자는 이 전쟁을 ‘남북전쟁’으로 지칭한다.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표 첨부)
전쟁피해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의 변화에 관한 연구내용 입니다. 남북관계의 진전은 두 국가와 두 government 를 인정하는 것에서 출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의 정치적 차원의 상호 인정을 학문적 상호 인정으로 만들어가는 것은 ‘정치’를 ‘현실’로 만들어가는 데 필수조건이라 할 것이다. government 수립 이전의 경우는 38선을 기준으로 삼은 ‘이남’, ‘이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전쟁피해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사회의변화에관한연구
전쟁피해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의 변화에 관한 연구
순서






Download : 전쟁피해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의 변화에 관한 연구.hwp( 12 )
설명
1. 머리말
2. 전쟁피해의 實態
1) 산업피해
2) 인명피해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의 變化
1) 민중동원의 강화
2) 전쟁의 影響에 대한 검토
4. 맺음말
1. 머리말
남북전쟁 우리는 흔히 남북을 지칭할 때 남한, 북한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이 글에서는 분단정권 수립 이후의 서술에서는 되도록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는 정식 명칭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