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k.kr 1월 소비자물가 석달만에 3%대 > desk8 | desk.kr report

1월 소비자물가 석달만에 3%대 > desk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desk8

1월 소비자물가 석달만에 3%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06:51

본문




Download : 120202113936_.jpg




지난해 고공행진했던 물가가 한풀 꺾인 것으로 볼 수 있다



 

 9월3.8
 그러나 전월대비로는 0.5% 상승, 지난해 11월 0.1%, 12월 0.4%에 비해 다소 상승세가 가팔랐다. 이로 인한 기업의 원자재 수급 부담 증가가 점쳐진다.


1월 소비자물가 석달만에 3%대


 10월3.6


 2012년 1월3.4
다.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0월 3.6%를 기록한 이후 3개월 만에 3%대로 하락했다.
설명
 공공요금 인상도 큰 변수다. 또 1월 소비자 물가 안정에도 불구하고 2월 물가는 1월보다 상승폭이 다소 높아질 展望이다. 정부는 인상하더라도 하반기 이후로 최대한 늦춰 달라고 서울시에 요구하고 있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2011년 1월 3.4% 이후 가장 낮았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
 <표>월별 소비자물가 동향 (전년 동월비)
1월 소비자물가 석달만에 3%대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1일 통계청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4% 상승했다. 우리 정부가 이란 제재 강도를 높인다면 원유 수입가격도 급등할 것이 예상된다. 그러나 전월 대비 오름세가 계속됐고 유가 급등과 공공요금 인상 effect(영향) 으로 물가불안은 지속될 展望이다. 중동 정세가 심상치 않은 탓에 지난달 mean or average(평균) 국제유가는 배럴당 109달러로 110달러선에 근접했다. 한국은행이 최근 조사한 1월 기대 인플레이션율은 연mean or average(평균) 4.1%를 기록, 전월보다 0.1%포인트 올랐다.

Download : 120202113936_.jpg( 16 )


레포트 > 기타






 
 가장 큰 불안요소는 이란을 둘러싼 중동 정세다. 서울 지하철요금과 버스요금은 150원 인상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 지하철요금과 버스요금 인상은 물가를 0.0765%포인트 끌어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달 상승률(4.2%)보다 0.8%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지난해 7월 이후 4%대 행진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개월 만에 3%대로 떨어지며 1년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향후 물가가 3.0~4.5% 범위에서 상승할 것으로 보는 소비자 비중은 59.8%로 전월보다 4.9%포인트 감소한 반면, 4.5%를 초과해 오를 것으로 기대하는 소비자 비중은 지난달 20.9%에서 26.1%로 증가했다. 1월 소비자물가 안정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안심할 수 없는 이유다.
 11월4.2
 재정부 관계자는 “상하수도 요금 인상을 저울질하는 지자체가 많고, 민간 부문도 역시 상품과 서비스가격을 언제 올릴지 눈치를 보는 상황에서 서울시가 교통요금을 독자적으로 올려버리면 정부의 물가안정의지가 약한 것처럼 비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1월 소비자물가 석달만에 3%대
 8월4.7

 12월4.2
순서

1월 소비자물가 석달만에 3%대
 2011년 7월4.5
 소비자물가가 오를 것으로 예상하는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은 것도 불안요인이다.
전체 7,71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desk.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